
고혈압은 다양한 병인을 가진 질환이다. 젊어서는 교감 신경계 또는 레닌-안지오텐신계 활성이 고혈압 발생의 주 기전이고, 그리고 나이가 들어서는 소금 및 볼륨증가가 혈 압상승을 이끄는 주 기전이다. 60여 년 전부터 고혈압 약 제의 개발도 이런 기전에 따라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 알파-베타차단제와 같은 교감신경억제제, 체내 소금 및 볼륨을 줄이기 위해 이뇨제와 칼슘채널차단제가 개발되 었고,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 또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와 같은 레닌-안지오텐신계 활성억제제가 개발되 어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직접 레닌억제제, 알도스테론 길항제 등이 고혈압 약물로 소개되었다. 최근 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 고혈압진료지침에서 는 중요한 약물계통을 A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B (betablocker), C (calcium channel blocker), D (diuretics) 4가지로 분류하여 고혈압 치료의 첫 번째 약물로 추천하 고 있다[1]. 하지만 고혈압환자가 첫 번째 추천하는 약물 에 반응하거나 조절되는 경우는 1/3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서 많은 환자들이 약의 용량을 올리거나 아니면 다른 약 을 추가로 필요로 하게 된다[2-4]. 약의 효과 면이나 부 작용감소 측면에서는 약의 용량을 올리는 것 보다는 다 른 약을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6]. 그 다음은 어떻게 약을 배합할 것인가이다. 첫 번째 약의 용량을 올리거나[5], 같은 기전을 가진 고혈압을 배 합하는 것[7] 보다는 서로 기전이 다른 두 가지 고혈압 약 Hypertension has a diverse pathophysiology. Theoretically, one drug is not sufficient to control high blood pressure (BP) in most hypertension.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drugs with different mechanisms is needed to meet the target BP. In setting the target BP, a low-dose combination of two drugs with different mechanisms has greater efficacy and safety than a higher dose of one drug. Recent clinical trials and hypertension guideline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report that the combination of renin-angiotensin system inhibitors with calcium channel antagonists or diuretics is generally recommended but combinations including beta-blockers, rarely so. However, if even a combination of three drugs all with different mechanisms, each at full dose does not control the BP, then a betablocker and/or other antihypertensive drug should be considered. Rarely, an interventional procedure such as renal sympathetic denervation has been applied, but evidence supporting such therapies remains limited.
| citations This is an alternative to the "Influence" indicator, which also reflects the overall/total impact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diachronically). | 0 | |
| popularity This indicator reflects the "current" impact/attention (the "hype")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 Average | |
| influence This indicator reflects the overall/total impact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diachronically). | Average | |
| impulse This indicator reflects the initial momentum of an article directly after its publication,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 Averag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