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ript type="text/javascript">
<!--
document.write('<div id="oa_widget"></div>');
document.write('<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www.openaire.eu/index.php?option=com_openaire&view=widget&format=raw&projectId=undefined&type=result"></script>');
-->
</script>pmid: 25813814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BK21 사업단채수진 강의 내용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좋은 강의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강의중 학생들을 집중시키고 학습을 자극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교수자의 몫이다 . 교수자는 이를 위해서 언어적 및 비언적 의사소통 방법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 . 의과대학 수업평가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1], 의과대학 학생들은 교수자의 ‘강의 전달 능력 ’을 수업평가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 눈 마주침, 표정, 제스처, 자세, 목소리의 특성, 말투, 빠르기 등 교수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따라서 수업의 성공 여부가 크게 좌우된다는 것이다 . 교수자의 이야기 방식, 즉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교육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 왜냐하면 인간은 대부분의 정보를 시각과 청각을 통해 수집하는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시각과 청각 정보를 자극하는 의사소통 방식이기 때문이다 . 교수자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개선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과 그 영향을 살펴본다 [2].
| citations This is an alternative to the "Influence" indicator, which also reflects the overall/total impact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diachronically). | 3 | |
| popularity This indicator reflects the "current" impact/attention (the "hype")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 Average | |
| influence This indicator reflects the overall/total impact of an article in the research community at large,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diachronically). | Average | |
| impulse This indicator reflects the initial momentum of an article directly after its publication, based on the underlying citation network. | Average |
